본문 바로가기
전공 정리/공업수학

43. 스토크스(Stokes) 정리

by 꼬긔 2020. 6. 26.

 43.1. Stokes' Theorem.

  선적분과 이중적분을 바꾸어주는 도구가 Green 정리였고, 면적분과 삼중적분을 바꾸어 주는 도구가 발산 정리였습니다. Stokes 정리는 선적분과 면적분을 서로 바꾸어주는 도구입니다. 곡면 $S$가 공간에 존재하고 $S$의 경계 곡선을 $C$라고 합시다. $S$에서 연속인 벡터 함수 $\mathbf {F}$가 존재하고 $\mathbf {F}$의 편도함수도 연속 함수라고 하면 Stokes 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int \int_{S} (\nabla \times \mathbf {F}) \cdot \mathbf {n} dA = \oint_{C} \mathbf {F} \cdot \mathbf {r}'(s) ds \cdots (1)$

 (1)의 $\mathbf {n}$은 $S$의 단위 법선 벡터이고, $s$는 $C$의 길이입니다. (1)을 성분으로 나타내 봅시다. (1)의 좌변은 면적분항입니다. 면적분의 성분 표현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int \int_{S} \mathbf {G} \cdot \mathbf {n} dA = \int \int_{R} (G_1N_1 + G_2N_2 + G_3N_3)dudv \cdots (2)$

 (1)의 좌변은 (2)의 $\mathbf {G} = \nabla \times \mathbf {F}$인 경우입니다. 외적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begin {matrix} \mathbf {G} = \nabla \times \mathbf {F} &=& \left( \frac {\partial F_3}{\partial y} - \frac {\partial F_2}{\partial z}\right)\mathbf {i} - \left(\frac {\partial F_3}{\partial x} - \frac {\partial F_1}{\partial z}\right)\mathbf {j} + \left(\frac {\partial F_2}{\partial x} - \frac {\partial F_1}{\partial y}\right)\mathbf {k} \\ &=& \left [\left( \frac {\partial F_3}{\partial y} - \frac {\partial F_2}{\partial z}\right), \left(\frac {\partial F_3}{\partial x} - \frac {\partial F_1}{\partial z}\right), \left(\frac {\partial F_2}{\partial x} - \frac {\partial F_1}{\partial y}\right)\right] \\ &=& [G_1, G_2, G_3] \end {matrix} \cdots (3)$

 (3)을 (2)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int \int_{S} \mathbf {G} \cdot \mathbf {n} dA = \int \int_{R} \left[\left( \frac {\partial F_3}{\partial y} - \frac {\partial F_2}{\partial z}\right) N_1 - \left(\frac {\partial F_3}{\partial x} - \frac {\partial F_1}{\partial z}\right) N_2 + \left(\frac {\partial F_2}{\partial x} - \frac {\partial F_1}{\partial y}\right) N_3\right] dudv \cdots (4)$

 선적분의 성분 표현은 다음과 같습니다.

$\oint_{C} \mathbf {F}\cdot \mathbf {r}'(s)ds = \oint_{C'}(F_1dx + F_2dy + F_3dz) \cdots (5)$

 이때 $C'$은 $uv$평면에 나타난 적분 영역 $R$의 경계 곡선 부분입니다. (4)와 (5)를 같이 쓰면 Stokes 정리의 성분 표현이 되겠습니다.

$\int \int_{R} \left[\left( \frac {\partial F_3}{\partial y} - \frac {\partial F_2}{\partial z}\right) N_1 - \left(\frac {\partial F_3}{\partial x} - \frac {\partial F_1}{\partial z}\right) N_2 + \left(\frac {\partial F_2}{\partial x} - \frac {\partial F_1}{\partial y}\right) N_3\right] dudv = \oint_{C'}(F_1dx + F_2dy + F_3dz) \cdots (6)$

 예제를 풀어봅시다.

 

 Ex) $\mathbf {F} = [y,z,x]$이고 $S : z = f(x, y) = 1 - (x^2 + y^2),\ z \geq 0$일 때 Stokes 정리를 확인해 봅시다.

 (1)의 좌변으로 먼저 계산해봅시다. $\nabla \times \mathbf {F}$을 먼저 구해봅시다.

$\nabla \times \mathbf {F} = \begin {vmatrix} \mathbf {i} & \mathbf {j} & \mathbf {k} \\ \frac {\partial}{\partial x} & \frac {\partial}{\partial y} & \frac {\partial}{\partial z} \\ y & z & x \end {vmatrix} = -\mathbf {i} - \mathbf {j} - \mathbf {k} = [-1, -1, -1] \cdots (7)$

 법선 벡터를 구해봅시다. 곡면의 법선 벡터는 Gradient로 구할 수 있습니다. $z - f(x, y) = 0$을 Gradient 해봅시다.

$\mathbf {N} = \nabla (z - f(x,y)) = [2x,2y,1] \cdots (8)$

 (7)과 (8)을 내적해 봅시다.

$(\nabla \times \mathbf {F})\cdot \mathbf {N} = [-1,-1,-1]\cdot [2x,2y,1] = -2x-2y-1 \cdots (9)$

 (1)의 좌변에 식을 대입해 봅시다. $x=u$ , $y=v$라 하면 다음과 같이도 쓸 수 있습니다.

$\int \int_{S} (\nabla \times \mathbf {F})\cdot \mathbf {n}dA = \int \int_{R} (\nabla \times \mathbf {F})\cdot \mathbf {N} dxdy = \int \int_{R} (-2x-2y-1) dxdy \cdots (10)$

 (10)의 적분을 쉽게하기 위해 직교좌표계에서 원통좌표계로 바꾸어봅시다. $x = r\cos \theta$, $y = r\sin \theta$라 합시다. 적분 범위는 $0\leq r \leq 1$, $0 \leq \theta \leq 2\pi$가 되고, $dxdy = rdrd\theta$입니다. 이중적분을 계산해봅시다.

 $\begin {matrix} \int_{0}^{2\pi} \int_{0}^{1}(-2r^2(\cos \theta + \sin \theta) - r)drd\theta &=& \int_{0}^{2\pi}\left(-\frac {2r^3}{3} (\cos \theta + \sin \theta)-\frac {r^2}{2} \right)|_{0}^{1} d\theta \\ &=& \int_{0}^{2\pi} \left( - \frac {2}{3}(\cos \theta + \sin \theta) - \frac {1}{2}\right) d\theta \\ &=& \left(-\frac {2}{3}(\sin \theta - \cos \theta) - \frac {1}{2}\theta\right)|_{0}^{2\pi} \\ &=& -\pi \end {matrix} \cdots (11)$

 이번에는 (1)의 우변으로 계산해 봅시다. 곡선 $C$는 $S$의 경계 곡선이고, 그 경계의 방정식은 $x^2 + y^2 = 1,\ z=0$인 원입니다. 이 원의 위치 벡터를 $\mathbf {r}(s)$라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mathbf {r}(s) = [\cos s, \sin s,0] \cdots (12)$

 (12)를 미분해 봅시다.

$\mathbf {r}'(s) = [-\sin s , \cos s, 0] \cdots (13)$

 (12)를 $\mathbf {F}$에 대입하여 \mathbf {F}(\mathbf {r}(s))$를 구합니다.

$\mathbf {F}(\mathbf {r}(s)) = [\sin s , 0, \cos s] \cdots (14)$

 (1)의 우변에 (13)과 (14)를 대입합시다. 적분구간은 $0\leq s \leq 2\pi$가 되겠습니다.

$\begin {matrix} \oint_{C} \mathbf {F} \cdot d\mathbf {r} &=& \oint_{C} \mathbf {F}(\mathbf {r}(s))\cdot \mathbf {r}'(s) ds \\ &=& \int_{0}^{2\pi} [\sin s,0,\cos s] \cdot [-\sin s, \cos s, 0] ds \\ &=& \int_{0}^{2\pi} (-\sin^2 s) ds \\ &=& -\left(\frac {1}{2} s - \frac {\sin (2s)}{4}\right)|_{0}^{2\pi} \\ &=& -\pi \end {matrix} \cdots (15)$

 (11)과 (15)의 결과를 비교하면, Stokes 정리가 성립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으로 벡터 미적분 부분이 끝났네요. 다음 포스팅부터 푸리에 해석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예정입니다.

'전공 정리 > 공업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45. 우함수와 기함수의 푸리에 급수  (0) 2020.06.28
44. 푸리에 급수  (0) 2020.06.28
42. 가우스의 발산 정리  (0) 2020.06.23
41. 면적분  (2) 2020.06.22
40. 그린(Green) 정리  (0) 2020.06.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