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공 정리/공업수학

39. 적분 경로의 독립

by 꼬긔 2020. 6. 19.

39.1. Path Dependence.

 선적분은 구간의 시점과 종점뿐만 아니라, 적분 경로에 따라서도 적분 결과가 달라집니다. 다음 예시를 풀어 보면서 확인해봅시다.

 

 Ex) 1. 시점과 종점이 같지만 적분 경로가 다른 두 선적분의 결과를 비교해 봅시다. [그림 1][각주:1]의 $C_1$은 $\mathbf {r}_1(t) = [t, t,0]$을 따르고, $C_2$는 $\mathbf {r}_2(t) = [t, t^2,0]$이고, 두 경로 모두 구간 $0 \leq t \leq 1$입니다. $\mathbf {F} = [0, xy,0]$의 각 경로에 따른 선적분을 비교해 봅시다.

[그림 1] 예제 1의 적분 경로

 $C_1$의 선적분을 먼저 구해봅시다. $\mathbf {r}_1$을 $\mathbf {F}$에 대입해봅시다.

$\mathbf {F}(\mathbf {r}_1(t)) = [0,t^2,0] \cdots (1)$

 $\mathbf {r}_1(t)$을 미분합시다.

$\mathbf {r}_1'(t) = [1,1,0]\cdots (2)$

 (1)과 (2)를 통해 선적분을 계산합니다.

$\int_{C_1} \mathbf {F}(\mathbf {r}_1(t))\cdot\mathbf {r}_1'(t) dt = \int_{0}^{1} [0, t^2,0]\cdot [1,1,0] dt = \int_{0}^{1} t^2 dt = \left(\frac {t^3}{3}\right)|_{0}^{1} = \frac {1}{3} \cdots(3)$

 $C_2$를 구해봅시다. $\mathbf {r}_2$를 $\mathbf {F}$에 대입합니다.

$\mathbf {F}(\mathbf {r}_2(t)) = [0,t^3,0] \cdots (4)$

 $\mathbf {r}_2(t)$을 미분합시다.

$\mathbf {r}_2'(t) = [1,2t,0]\cdots (5)$

 (4),(5)로 선적분을 계산합시다.

$\int_{C_2} \mathbf {F}(\mathbf {r}_2(t))\cdot\mathbf {r}_2'(t) dt = \int_{0}^{1} [0, t^3,0]\cdot [1,2t, 0] dt = \int_{0}^{1} 2t^4 dt = \left(\frac {2t^5}{5}\right)|_{0}^{1} = \frac {2}{5} \cdots (6)$

 (3)과 (6)을 비교하면 시점과 종점이 같지만, 적분 경로가 달라 선적분 값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9.2. Path Independence.

 39.1. 과는 다르게, 적분 경로에 무관하게 시점과 종점에 따라서만 선적분 값이 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mathbf {F} = \nabla f$로 나타낼 수 있는 경우 적분 경로에 관계없이 시점과 종점이 같다면 선적분 값이 같습니다. 증명해봅시다.

 선적분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int_{C}\mathbf {F}\cdot d\mathbf {r} = \int_{C}(F_1dx + F_2dy + F_3dz) \cdots (7)$

 $\mathbf {F} = \nabla f$이므로, 다음과 같습니다.

$\mathbf {F} = [F_1,F_2,F_3] = \left [\frac {\partial f}{\partial x},\frac {\partial f}{\partial y}, \frac {\partial f}{\partial z}\right]\cdots (8)$

 (8)을 (7)에 대입해봅시다.

$\int_{C} \left(\frac {\partial f}{\partial x} dx + \frac {\partial f}{\partial y} dy + \frac {\partial f}{\partial z} dz\right) \cdots (9)$

 (9)를 Chain Rule을 이용하여 매개변수 $t$에 대한 적분으로 나타내 봅시다. 적분 경로의 시점을 점 $A$라 하고, 종점을 점 $B$이라 하고 $t$의 구간을 $a \leq t \leq b$이라 합시다. 적분을 다음과 같이 바꿀 수 있습니다.

$\int_{C} \left(\frac {\partial f}{\partial x}dx + \frac {\partial f}{\partial y} dy + \frac {\partial f}{\partial z} dz\right) = \int_{a}^{b} \left(\frac {\partial f}{\partial x} \frac {dx}{dt} + \frac {\partial f}{\partial y} \frac {dy}{dt} + \frac {\partial f}{\partial z} \frac {dz}{dt} \right) dt \cdots(10)$

 (10)의 적분 함수는 $f$의 전미분 $\frac {df}{dt}$와 같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습니다.

$\int_{a}^{b} \left(\frac {\partial f}{\partial x} \frac {dx}{dt} + \frac {\partial f}{\partial y} \frac {dy}{dt} + \frac {\partial f}{\partial z} \frac {dz}{dt} \right) dt = \int_{a}^{b} \frac {df}{dt} dt = \int_{a}^{b} df \cdots (11)$

 (11)을 미적분의 기본 정리로 풀어 줍니다.

$\int_{a}^{b} df = f[x(t),y(t),z(t)]|_{t=a}^{t=b} = f(x(b), y(b), z(b)) - f(x(a), y(a), z(a)) = f(B) - f(A) \cdots (12)$

 (12)의 결과로, $\mathbf {F} = \nabla f$로 나타낼 수 있다면, 선적분 값은 $f(B) - f(A)$이므로 시점과 종점의 값으로만 결정되므로, 적분 경로와는 무관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9.3. Path Independence Around Closed Curves.

 선적분이 경로에 무관할 때, 즉 $\mathbf {F} = \nabla f$일 때 적분 경로가 만일 폐곡선일 경우 적분 값이 어떨지 확인해 봅시다. [그림 2]에서 폐곡선을 점 $A$와 점 $B$로 나누고 적분 방향이 시계 반대 방향이라고 합시다.

[그림 2] 폐곡선의 구간

 적분 방향이 시계 반대 방향이므로 $C_1$은 시점이 $A$이고 종점이 $B$입니다. $C_2$는 시점이 $B$이고 종점이 $A$입니다. $\mathbf {F} = \nabla f$라면 경로에 무관하므로 $C_1$의 적분은 $f(B) - f(A)$이고, $C_2$의 적분은 $f(A) - f(B)$가 됩니다. 선적분의 성질로 $\int_{C} = \int_{C_1} + \int_{C_2}$이므로, $\mathbf {F} = \nabla f$일 때 적분 경로가 폐곡선인 적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int_{C}\mathbf {F}\cdot d\mathbf {r} = \int_{C_1}\mathbf {F_1}\cdot d\mathbf {r_1} + \int_{C_2}\mathbf {F_2} \cdot d\mathbf {r_2} = (f(B) - f(A)) - (f(A) - f(B)) = 0 \cdots (13)$

 즉 적분 경로에 무관한 선적분의 적분 구간이 폐곡선일 때, 선적분 값은 0이 됩니다.

 

39.4. Path Independence of Differential Forms.

 적분 경로에 무관한 선적분인지 쉽게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적분 경로에 무관하려면 $\mathbf {F} = \nabla f$인 $f$가 존재하면 됩니다. 이전 포스팅의 회전을 이용합시다. 회전의 성질로 다음과 같은 식이 있었습니다.

 $\mathrm {curl} \ \nabla f = \mathrm {curl}\ \mathbf {F} = \mathbf {0} \cdots (14)$

 $\mathbf {F}$의 회전이 0이면 $\mathbf {F} = \nabla f$이므로, 적분 경로에 무관해집니다. $\mathbf {F} = [F_1,F_2,F_3]$이라 하고 회전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mathrm {curl}\ \mathbf {F} = \begin {vmatrix} \mathbf {i}&\mathbf {j}&\mathbf {k} \\ \frac {\partial}{\partial x}&\frac {\partial}{\partial y}&\frac {\partial}{\partial z} \\ F_1&F_2&F_3 \end {vmatrix} = \left(\frac {\partial F_3}{\partial y} - \frac {\partial F_2}{\partial z}\right)\mathbf {i} - \left(\frac {\partial F_3}{\partial x} - \frac {\partial F_1}{\partial z}\right)\mathbf {j} + \left(\frac {\partial F_2}{\partial x} - \frac {\partial F_1}{\partial y}\right)\mathbf {k}\cdots (15)$

 (15)의 결과로 다음을 만족하면 $\mathbf {F} = \nabla f$를 만족하는 $f$가 존재함을 알 수 있습니다.

$\frac {\partial F_3}{\partial y} = \frac {\partial F_2}{\partial z}$, $\frac {\partial F_3}{\partial x} = \frac {\partial F_1}{\partial z}$, $\frac {\partial F_2}{\partial x} = \frac {\partial F_1}{\partial y}\cdots (16)$

 

 이번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Green's Theorem에 대하여 작성할 예정입니다.

  1. Erwin Kreyszig, Advanced Engineering Mathematics 10th edition, pp.418. [본문으로]

'전공 정리 > 공업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41. 면적분  (2) 2020.06.22
40. 그린(Green) 정리  (0) 2020.06.22
38. 선적분  (0) 2020.06.17
37. 벡터장의 회전(Curl)과 발산(Divergence)  (0) 2020.06.13
36. 스칼라장의 그래디언트  (0) 2020.06.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