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CommonHTML/jax.js
본문 바로가기
전공 정리/공업수학

16. 상미분방정식의 미분항과 적분항의 라플라스 변환

by 꼬긔 2020. 4. 28.

 1. Laplace Transform of Derivatives

 미분항의 Laplace transform은 다음과 같습니다.

L(f)=sL(f)f(0)     (1)

L(f)=s2L(f)sf(0)f(0)     (2)

 증명해 보겠습니다. 먼저 Laplace transform 공식에 대입해 봅시다.

L(f)=0estf(t)dt     (3)

부분 적분법을 이용해 (3)의 적분항을 풀어줍니다.

0estf(t)dt=estf(t)|0+s0estf(t)dt=sL(f)f(0)

L(f)=sL(f)f(0)     (4)

 

L(f)를 구하기 위해 (4)의 결과를 이용합시다.

L(f)=sL(f)f(0)=s(sL(f)f(0))f(0)=s2L(f)sf(0)f(0)

L(f)=s2L(f)sf(0)f(0)

 

 (1),(2)을 보시면 f(0),f(0)이 식에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말은 곧 Initial condition이 제시되어야 Laplace transform을 이용하여 미분방정식을 풀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미분항의 Laplace transform을 이용하여 적분항의 Laplace transform 또한 알 수 있습니다.

 

 2. Laplace Transform of Integral

 적분항의 Laplace transform은 다음과 같습니다.

L(t0f(τ)dτ)=1sF(s)     (5)

 (5)를 유도하기 위해 먼저 g(t)=t0f(τ)dτ라 합시다. 양변을 t에 대하여 미분하면 g(t)=f(t)임을 알 수 있습니다. (4)를 통해 다음과 같습니다.

L(g(t))=sL(g(t))g(0)     (6)

g(t)=t0f(τ)dτ이라 하였으므로, g(0)=0임을 알 수 있습니다. (6)을 다시 정리하면

L(f(t))=sL(g(t))     (7)

 (7)에서 다시 g(t)=t0f(τ)dτ을 대입하고 정리하면 (5)를 얻을 수 있습니다.

L(t0f(τ)dτ)=1sF(s)

 예제를 몇 가지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Ex) 1. L1(1s(s2+ω2))

 먼저 Laplace transform 기본형 태인 L1(1s2+ω2)=1ωsinωt임을 알고 있습니다. 주어진 문제는 이 함수의 적분항임을 알 수 있습니다. (5)를 통해 다음과 같습니다.

L1(1s(s2+ω2))=t01ωsinωτdτ     (8)

 (8)에서 구한 적분을 풀어줍니다.

t01ωsinωτdτ=1ω2cosωτ|t0=1ω2(1cosωt)

 

 sol) L1(1s(s2+ω2))=1ω2(1cosωt)

 

Ex) 2. yy=t,     y(0)=1,     y(0)=1

 먼저 주어진 식의 양변을 Laplace transform 합시다. 식을 간단히 하기 위해 L(y)=Y라 씁시다.

s2Ysy(0)y(0)Y=1s2     (9)

 (9)의 식을 정리 해 봅시다.

(s21)Y=1s2+s+1     (10)

 (10)을 Y에 대하여 다시 써 봅시다.

Y=1s2(s21)+1s1=1s211s2+1s1     (11)

 (11)을 다시 역변환합니다. 따라서 y(t)

y(t)=sinhtt+et

 

 sol) y(t)=sinhtt+et

 

 Ex) 3. y+y=2t,     y(π4)=π2,     y(π4)=22

 (1), (2)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0에서 함숫값이 필요합니다. 다음과 같다고 합시다.

t=˜t+π4     (12)

 또한 (12)에서 dt=d˜t, dt2=d˜t2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주어진 식을 ˜t에 대한 식으로 고쳐줍니다. 주어진 식은 다음과 같아집니다.

˜y+˜y=2(˜t+π4)     (13)

 주어진 함숫값 또한 바뀝니다.

˜y(0)=π2,     ˜y(0)=22     (14)

 이제 Ex. 2와 유사한 문제가 되었습니다. (14)를 토대로 (13)을 Laplace transform 합니다.

s2˜Ys˜y(0)˜y(0)+˜Y=s2˜Ysπ2(22)+˜Y=2s2+π2s     (15)

 (15)를 정리합니다.

(s2+1)˜Y=2s2+π2s+πs2+22     (16)

 (16)을 ˜Y에 대하여 정리합니다.

˜Y=2s2(s2+1)+π2s(s2+1)+πs2(s2+1)+22s2+1=2(1s21s2+1)+π2(1sss2+1)+πs2(s2+1)+22s2+1    (17)

 (17)의 역변환을 수행합니다.

˜y=L1(˜Y)=2(˜tsin˜t)+π2(1cos˜t+π2cos˜t+(22)sin˜t=2˜t+π22sin˜t     (18)

 (18)에 (12)를 대입합니다.

y=2t2sin(tπ4)     (19)

 (19)는 sin의 덧셈 정리로 더 간단하게 적을 수 있습니다.

y=2tsint+cost

 

sol) y=2tsint+cost

 

 다음 포스팅은 unit step function에 대하여 작성할 예정입니다.

'전공 정리 > 공업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 디랙 델타 함수  (0) 2020.05.01
17. 단위 계단 함수  (0) 2020.05.01
15. 라플라스 변환  (0) 2020.04.27
14. 수렴 구간, 수렴 반경  (0) 2020.04.24
13. 상미분방정식의 급수 해법  (0) 2020.04.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