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또 일주일만이네요. 다음 주에도 서류 마감이 있어서 7번 포스팅도 일주일정도 걸리지 않을까 싶네요.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 볼게요.
6.1. 과열증기표 보는 법
과열증기표랑 압축액표 보는 법은 이전 포스팅의 포화증기표와 원리는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주의할 점 몇 가지 추가되는 정도입니다.
액체인 순물질에 열을 가하면 포화상태가 되었다가 상변화를 마치게 된다면 기체 상태가 됩니다. 이 기체 상태의 물질의 강성적 성질을 알기 위해서 참고하는 표가 과열증기표입니다. 포화증기표를 참고할 때와 달라지는 점은 온도와 압력이 종속적인 관계에서 독립적인 관계로 바뀐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만일 포화상태의 물이 대기압(
[그림 1]을 참고해봅시다.

[그림 1] 각주에 표시되어 있듯 압력 우측 괄호 안 값은 압력에 대응되는 포화 온도입니다. 포화 온도가
이제 표를 통해 값을 읽어봅시다. 주어진 온도와 압력이

[그림 2]를 참고하면, 주어진 조건에서 엔탈피가
Ex 6.1)
압력, 온도 인 과열 증기의 내부에너지 값을 구하라.
문제에서 구하는 값이
6.2. 압축액표 보는 법
압축액은 과열증기와 반대 위치에 있습니다. 액체가 포화상태로 진입하기 전 액체 상태에 있을 경우 압축액 표를 참고합니다. 압축액 역시 과열증기표를 참고할 때와 같이 온도와 압력을 모두 알아야 합니다. [그림 3]의 압축액 표를 확인해 봅시다.

압축액표도 마찬가지로 압력 우측 괄호 안 숫자는 포화 온도입니다. 포화 온도를 넘어가는 순간 포화상태로 변하기 때문에, 괄호 안 숫자를 넘는 온도에 대응되는 값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표를 읽는 방법은 과열증기표와 동일한 방법으로 읽어주시면 됩니다.
표를 보니 한 가지 생각해 볼 점이 있습니다. 대기압 환경에
극한의 상황으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그림 3]의

[그림 4]에서
이번에는 압력을 동일하게 설정하고 온도를 변경해 보겠습니다. [그림 3]에서
이 결과에서 유추할 수 있는 사실은 압력의 영향이 온도의 영향에 비해 미미하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표에 제시되지 않은 압축액의 물성치 값은 동일한 온도에서 포화액의 성질로 근사할 수 있습니다. 주어진 경우
이번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은 상태방정식에 대해 작성할 예정입니다.
'전공 정리 > 열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포화증기표 읽는 법 (2) | 2023.03.17 |
---|---|
4. 순물질의 상변화 (0) | 2023.03.09 |
3. 열역학의 기본 개념 下 (0) | 2023.03.09 |
2. 열역학의 기본 개념 中 (0) | 2023.03.08 |
1. 열역학의 기본 개념 上 (0) | 2023.03.07 |
댓글